본문 바로가기

[책 리뷰]프로덕트 오너PO가 말하는 애자일 혁신

 

 

처음부터 술술 잘 읽히고, 사례중심적으로 말해주는 것이 설득 되고 좋았다.

책 중간중간 실전 TIP이 있는데 그 TIP을 조금 작성해 볼 까 한다.

 

1.  PO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

1) 학력 및 전공

책에서는 개발팀 협업으로 컴퓨터 공학이나

심리학, 경제학, 정치학, 경영학, 디자인, 법학 등 전공도 추천해주고 있는데,,

나는 일단 여기에 아무것도 속하지 않으므로 패스~

4년제 대학 안나와도 해외에서 경력을 쌓는 PO도 있다고 한다.

결론은 특정학력, 전공보다는 논리적 사고방식을 키우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한다.

언급된 학과에 없더라도 논리적 사고방식을 키우면 PO? 할 수 있 따~!

 

2) 업무 경험

1. 신입, 직무 전환자 : 개발 프로젝트 처음부터 끝까지 경험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.

스타트업 경험도 좋다.

**여기서 무엇을 왜 시작했는지, 그 과정에서 어떤 결정을 내렸는지. 성공여부를 어떻게 수치로 판단했는지 대답 할 수 있어야한다. 

 

2. 경력자 : PO로서 프로덕트를 직접 처음부터 끝까지 이행한 경력이 필수

**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맡았고, 얼마나 체계적인 사고방식으로 깊게 분석했으며, 어떤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성적 판단을 내렸는지 증명 할 수 있어야하며, 자신의 결정이 고객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.

 

3) 성향 및 능력

1. 이성적으로 수치화, 원칙에 의거해 판단 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방식 필수

2. 다양한 정보를 집요하게 파고들어 인사이트를 도출해 낼 수 있는 분석능력

3.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는 거시적인 시야

4. 공통적 목적 명시, 구체적 요구사항을 정리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

5. 사용자 관점에서 어떤 시안이 가장 효과적인지 판단할 수 있는 디자인적 소양

6. 한 번 시작한 업무를 끝까지 이어갈 수 있는 추진력 + 실패를 인정하고 빨리 포기할 수 있는 결단력

7. 선보이고자 하는 프로덕트의 고객이 누군지 판단하고, 집요하게 집착해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끈질김

 

 

2.  페르소나와 고객을 혼동하지 말자

페르소나

  • 실제 사용할 거라고 가정하고 만든 프로필
  • 이름, 성별, 나이, 직업 등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음
  • 페르소나에 맞춰 기획 디자인등을 함

페르소나 설정 문제점

  • 특정 페르소나 몇가지가 전체 고객 충분히 대변X
    올바르게 설정 했으니 의식적, 무의식적으로 사용자 테스트 UT 결과를 편파적으로 해석
  • 메이커, 유관부서 설명시 서로 다르게 주관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음

 

고객이 누군지 파악 할 때 데이터와 사용패턴등을 감안해 최대한 포괄적으로 접근해야한다.

1) 이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사람은 누구인가?

2) 개개인이 아닌 법인이나 단체가 이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나?

3) 사용자는 어떤가치를 얻으려 하는가?

4) 프로덕트가 그 가치를 직접적으로 제공 해줄 수 있나?

5) 성공적으로 제공했다는 사실을 데이터로 증명 가능한가?

6) 동일한 가치를 추구하는 사용자 집단을 묶을 수 있나?

 

 

+tip은 아니지만 기억하고싶은 내용

 

1) 치킨 카테고리를 상단에 노출 시켰을 때 단순히 카테고리를 이동 시킨 덕에 주문량이 증가했다고 볼 순 없다.

  • 마케팅 부서에서 치킨 주문 관련 프로모션을 진행하지 않았나?
  • 영업부서에서 치킨 판매처를 추가하지 않았나?
  • 초복이나 중복 같은 복날이 지난 주에 있었나?
  • 고객수가 증가하지 않았나?

이렇게 PO는 책임지는 프로덕트에 관한 데이터만 봐서는 안되고, 회사의 매출, 다른프로덕트 론칭일정등도 잘 알고 있어야한다.

728x90

'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책 리뷰] 변신  (0) 2025.01.11